Computer (52) 썸네일형 리스트형 6.1 Link layer, services Link layer - nodes : hosts, routers - links : 인접 node를 연결하는 communication channels(wired links, wireless link, LANs) - frame : datagram을 encapsulates * data-link layer는 datagram을 한 노드에서 physically adjacent한 Node에 link를 통해 전달한다. transportation을 여행으로 비유해보자. 서울에서 미국 San Jose를 간다고 해보자. - 택시 : 서울 -> 인천공항 - 비행기 : 인천공항 -> SFO - 기차 : SFO -> San Jose - 여행객 : datagram - 이동구간 : communication link - 택시,비행기,.. 5.3 SDN control plane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왜 Logically centralized control plane을 사용하나? - network management가 쉬움 - table-based forwarding로 programming router가능 - control plane에서 open implementation traditional routing에서는 traffic engineering이 어려웠다.(traffic을 바꾸기 위해 routing algorithm을 새로 만들어야했다) remote controller를 사용하면 programmable control이 가능해서 효율적이다 5.2 routing protocols(network layer control plane) Link state(global) n(n+1)/2번 반복 - oscillations 가능(경로 방향이 시계, 반시계 바뀜) Distance vector : 이웃 node정보만 알 때 사용 : x -> y의 least cost path의 cost - min은 x의 모든 neighbors v에 대해 적용 - Dx(y)는 x -> y의 least cost 추정치 - 이웃 node의 Distance Vector예측값으로 DV값 update - 반복하다보면 실제 least cost값인 dx(y)에 수렴하게 됨 - iterative(반복적) - asynchronous(비동기적) : 그때 그때마다 update - distribured(분산적) : 해당 node의 DV가 update될 때만 이웃node에 notifie.. 5.1 The control plane Network layer의 두 가지 function으로 forwarding과 routing이 있었다. forwarding(packet을 적절한 router의 output으로 이동)은 data plane에서 이루어지고 routing(packet의 경로 설정)은 control plane에서 이루어진다. - per-router control(traditional) - logically centralized control(software defined networking) : 모든 router 각각에서 개별적인 routing algorithm을 사용해서 forwarding table을 얻어 packet을 어디로 보내야할지 결정 : remote controller가 local control agents(CAs)와.. 4.3 IP: Internet Protocol - IPv4, IPv6 - network link는 "MTU(Max Transfer Size)"를 가짐 : router에서 최대 보낼 수 있는 packet의 크기 다룰 수 있다 - IP header bits가 나눠진 조각들의 순서 식별 - IP address : host와 router의 interface와 연결하기위한 32bit 식별자 - interface : host,router와 physical link를 연결 * IP address는 각각 interface와 연결(router에 연결X) : router를 통하지 않고 연결된network - subnet part : IP address 앞 부분 - host part : IP address 뒷 부분 - subnet mask : '/'뒤에 bit만큼 su.. 4.2 Inside a router 빨간색 박스 -> decentralized switching - header field의 값 이용(input port에 있는 forwarding table을 이용해서 output port를 찾음) - datagram이 forwarding rate보다 빠른 속도로 도착하면 queueing 발생 - destination-based forwarding : destination IP address에 기반해서 forwarding - generalized forwarding : header field value에 기반해서 forwarding : 구간을 정해서 전송 주소가 어디부터 어디까지는 0으로, 또 다른 어디부터 어디까지는 1로, ... - longest prefix matching : routers에서 pac.. 4.1 overview of Network Layer Network layer - transport layer에서 segment가 receiving host한테 보내진다 - 보내는 쪽에서 segment를 datagram으로 encapsulate해서 보낸다 - 받는 쪽에서 segment를 transport layer로 전달한다 - network layer protocol은 모든 host와 router에 존재한다 - router는 자신을 지나는 모든 IP datagram에 있는 header field를 조사한다 - forwarding : router로 들어온 input packets를 어디로 보낼 지 결정 (ex. 고속도로에서 어느 IC로 빠질것인지) - routing(거시적 관점) : 도착지까지 경로 어떻게 만들것인지 결정(출발->도착지까지 어떤 경로로 갈 .. 4.6 병렬컴퓨터 병렬컴퓨터(parallel computer) - 다중프로세서(multi-processor) 구조 : 복수의 프로세서 연결해 동시 처리 - 대규모(massively) 병렬컴퓨터 --> 최근 경향은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집중 연결해 사용 -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 분산된 지역에서 필요할 때 상호 연결되어 성능 발휘 - 클러스터 컴퓨팅(cluster computing) : 한 군데 모여 공동의 작업 * 슈퍼컴퓨터 : 228만개의 프로세서 코어 사용 - 병렬컴퓨터라고 할 수 있는 것 : SIMD, MIMD - SISD(single instruction single data stream) : 단일 명령, 단일 데이터 흐름 구조 -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 이전 1 2 3 4 5 ··· 7 다음